지난 주말 오전에는 부여에 들러 '백마강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였고, 점심식사를 하고 난 뒤에는 공주에 위치한 충청남도 역사박물관을 찾았습니다. 공주시 중동의 중동성당 맞은편에 위치한 충남역사박물관은 충청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바로 세워 역사적 정체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취지로 설립된 역사박물관입니다. 박물관을 관람하면서 충청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접해볼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 되었는데, 백제시대부터 전해내려온 전통놀이를 재현하는 어린이들을 만날 수 있어 더욱 의미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어린이들이 재현한 백제의 전통놀이는 저포놀이와 삼륙(삼육)놀이인데요. 저포놀이는 윷놀이와, 삼륙놀이는 서양의 체스와 매우 흡사한 놀이였습니다. 그렇다면 충남역사박물관의 간단한 관람기와 백제의 전통놀이를 소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저를 따라오세요.
충남역사박물관은 소나무와 벚꽃나무 등 울창한 나무숲으로 둘러 쌓여 있어 운치가 느껴지는 곳입니다. 경치가 워낙 좋아 많은 분들이 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부여군민으로 보이는 어떤 아저씨도 열심히 사진을 찍고 계시는군요.
서울시민인 저도 열심히 사진을 찍습니다.
이때 박물관 관계자께서 등장하여 직접 박물관과 그 안의 유물들을 소개해주셨습니다. 그럼 박물관 안으로 함께 들어가 볼까요?
박물관에 전시된 사진 자료를 통해 충청남도의 역사를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저포놀이를 즐기고 있습니다. 윷놀이와 비슷한 느낌의 저포놀이는 윷가락처럼 생긴 5개의 나무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숫자만큼 말판을 이동하여 정해진 말을 먼저 통과시키는 사람이 이기는 놀이입니다. 생각보다 규칙이 단순해서 남녀노소 모두 쉽게 배울 수 있는 게임입니다.
지금 보고 계신 놀이는 쌍륙인데요. 저포놀이와 마찬가지로 규칙이 아주 단순합니다. 쌍륙은 나무가락 대신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1~6의 칸에 말을 채워 넣고, 주사위 2개가 같은 숫자일 경우에 나머지 3개의 말을 가운데 놓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15개의 말을 채워넣고 모두 빼내는 규칙인데, 쌍륙(6,6)이 나오는 경우에는 상대편 말을 하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사실 직접 해보면 금방 배울 수 있는 게임인데 글로 설명하려고 하니까 어렵게 느껴지는군요. ㅎㅎ
이 아이는 저포놀이를 하다 말고 갑자기 뭔가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봤더니 돛자리 위로 올라온 개미를 잡고 있습니다. 개미가 다치지 않게 살짝 잡아다가 돛자리 밖으로 놓아주는데, 그 모습이 어찌나 귀엽고 예쁘던지 한참을 웃었습니다.
왠지 10년 후에는 소녀시대 윤아와 비슷한 모습으로 성장할 것만 같은 여자 어린이입니다. 저포놀이를 즐기는 아이의 표정에서 진지함이 묻어나고 있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쉽고 재미있는 우리의 전통놀이를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 조금은 안타깝습니다.
석갈비를 먹으며 이날 여행을 정리해봅니다. 대백제전을 통해 저포놀이와 쌍륙이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최신 보드게임에 비해 전혀 뒤질 것이 없습니다. 전통의상을 입고 전통놀이를 체험하면 아이들과 어른 모두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고, 전통놀이 체험 뿐만 아니라 천연염색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충남역사박물관 관람도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는 교육적 효과가 크겠지요. 이래저래 즐겁고 유익한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
'여행 > 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경기 평화통일마라톤을 빛낸 아름다운 얼굴들 (46) | 2010.09.15 |
---|---|
2010 경기 평화통일마라톤 대회의 잊지 못할 순간들 (43) | 2010.09.14 |
백마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즐기는 수상공연 사비미르 (28) | 2010.09.07 |
김덕수 사물놀이, 언제나 신명나는 우리의 소리 (38) | 2010.09.06 |
본 블로그는 모든 컨텐츠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스크랩 및 불펌은 절대 허용하지 않으며, 오직 링크만 허용합니다. 또한 포스트에 인용된 이미지는 해당 저작권자에게 권리가 있으므로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저작권 표시를 명확히 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